해당 악성코드는 downloader형 Trogan으로 CVE-2007-5659 취약성를 이용해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. CVE-2007-5659 취약성은 Adobe Reader와 Acrobat 8.1.1 및 이전 버전에서 발생하는 취약성으로 다중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해 원격 공격자는 지정되지 않은 JavaScript 메서드에 대한 긴 인수가 있는 PDF 파일을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. 따라서 취약한 버전의 Adobe Reader 및 Acrobat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가 해당 PDF 악성코드를 실행하면 PDF 파일 내에 있는 쉘코드가 실행이 된다. 쉘코드는 공격자 서버에 접속하여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. 현재 공격자 서버는 닫혀있어 추가 악성코드 행위는 알 수 없다.